라벨이 드립커피인 게시물 표시

드립 커피 내리는 방법 How to make Hand Drip Coffee

이미지
About Hand Drip Coffee (핸드 드립 커피란?) √ 물의 온도, 원두의 분쇄 정도, 필터의 종류, 드리퍼의 종류에 따라 조절해서 다양한 커피 맛을 낼 수 있는 커피 추출방식이다. 드립용으로 갈린 원두를 커피 드리퍼에 뜨거운 물을 부어 통과시키면 된다. 드립 커피는 독일의 밀리타 벤츠라는 주부로부터 시작되었고, 독일의 커피 브랜드 밀리타가 바로 원조인 것. 나의 드립 커피의 시작은 칼리타였지만,  개인적으로 밀리타로 내린 드립 커피가 가장 맘에 든다.

핸드드립커피의 맛은 커피필터의 지분이 크다 Fillter for Hand drip Coffee

이미지
내가 생각하는 드립 커피의 핵심.  Point of Hand Drip Filter  1. 원두 가루의 굵기 - 기계 용이라고 너무 가늘 게 갈면 커피가 안 내려진다. (이건 정말 커피추출기가 고장 난 줄 알고 새 기계를 다시 산 경험으로 인한 짠내나는 고백이다. 평소 때는 안 그랬는데 왜 그랬을까. 새로 사라는 계시였다고 세뇌하는 중이다. ) 2. 커피 필터(여과지) -   드리퍼로 커피를 내릴 때는 커피 필터가 맛을 좌우한다. 칼리타 dripper를 사면 칼리타 커피 필터가 들어 있어서 그걸 쓸 때는 원두의 굵기가 어떻든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다른 제품을 써보고서야 알았다.  커피 필터는 굉장히 중요하다. ** 독일 사는 친구(본인이 추구하는 커피 맛에 엄청 엄격해서 한국에 올 때도 본인이 좋아하는 커피를 꼭 가지고 온다 ) 가 추천해준 드리퍼와 커피 필터가 밀리타(Melitta)라는 브랜드인데, 기회가 되면 꼭 사 볼 예정이다.  구입해본 필터. GUSTIN KRAMER 콘 스타일 커피 필터.   현재 사용 중   ◎ 코스트코에서 판매한다. 무난한 편, 딱히 좋고 싫고는 없지만, 여과지의 색이 완전 흰색이다.  아이허브에서 산 커피 필터.  현재 사용하지 않는다   ◎ 뭘 사야 할지 몰라 무형광이라서 대충산  아래의 아이(아이허브에서 샀다)는 조금이라도 가늘게 갈면 가루가 마구마구 통과해버린다. 입에서 원두 가루를 걸러 내야 한다. (현재는 안 쓰고 있다) EMMA 커피 필터.  현재 사용 중   ◎ 트레이더스에서 판매한다. 무형 광이다. 이유는 왜 그랬는지 알 수 없지만 미친 듯이 가늘게 간...

칼리타 핸드밀(그라인더)과 드리퍼 Kalita Handmill(Grinder) & Dripper

이미지
처음 드립(Drip)으로 커피를 내려 마실 때,  시작 단계로 무난한  칼리타 커피 밀+드리퍼  세트 칼리타 핸드밀(그라인더) + 드리퍼   Kalita Handmill(Grinder) & Dripper 부드러운 아메리카노를 마시고 싶을 때,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원두 향을 느끼며 천천히 내려 먹는 커피는 사 먹는 것 보다 훨씬 맛있다. 커피추출기(Coffee Muchine)와는 또다른 맛이 난다.

코스트코 스타벅스 원두 브랙퍼스트 블렌드 Costco Starbucks Breakfast Blend

이미지
스타벅스(starbucks) 원두 브랙퍼스트 브랜드 Breakfast Blend 코스트코에 파는 스타벅스 원두는  1.13kg(29990원인데 할인할 때는 좀 더 저렴하다.)  스타벅스 매장에선 250g 용량 차이가 4배가 넘는다. 그만큼 가격도 비싸다는 이야기다. 원두를 먹을 때마다 갈아서 향을 느끼면서 먹고 싶지만, 원두 가는 게 귀찮아져서 커피를 집에서 안 먹게 되는 일이 생긴다. 아무리 유리병에 잘 보관해둬도 시간이 흐르면서 원두가 점점 딱딱해지고 향도 날아가게 된다.

하마야 커피 HAMAYA INSTANT COFFEE

이미지
'드   립   커   피' 가  먹고 싶을때 괜찮은 커피이다.  드리퍼 필요없음, 뜨거운물과 컵만 있으면 된다.  코스트코에서 판다.  36개 들어있는데 가격이 만사천원대였나 꽤 오래먹고 있어서 기억이 잘안난다. 스벅 via에 비하면 엄청 저렴편이다. 캠핑이나 여행갈때 챙기가면 좋다.아 여행가고 싶다.